UEFA 유로 2016 예선 개최기간 2014년 9월 7일 ~ 2015년 11월 17일 경기장 53개 (53개 도시) 최다 득점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3골)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사용된 축구공
UEFA 유로 2016 예선 은 UEFA 유로 2016에 출전할 개최국인 프랑스 를 제외한 23개의 출전 팀을 가리는 경기이며, 2014년 9월 7일부터 2015년 11월 17일까지 진행했다.
예선 포맷은 다음과 같다.
개최국 프랑스 를 제외한 나머지 53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서 경기를 치른다. 9개 조 중 8개 조는 6개 팀이, 나머지 1개 조는 5개 팀이 배정된다.
각 조의 1위와 2위(도합 18개 팀)는 본선에 직행한다.
나머지 5장은 각 조 3위 팀들에게 배당한다. 이들 중 전적이 가장 좋은 1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며 나머지 8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본선 진출 팀을 결정한다.
특이사항
아르메니아 와 아제르바이잔 , 스페인 과 지브롤터 는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지난 대회 와는 달리, 러시아 와 조지아 는 서로가 같은 조에 배정될 경우에도 경기를 치르기로 합의함에 따라 이 특례를 적용하지 않는다.
스페인 과 독일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잉글랜드 는 TV 중계권 판매를 고려하여 6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 편성된다.
개최국 프랑스 는 5개 팀으로 구성된 I조에 속해 있는 국가를 상대로 친선 경기를 치른다.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는 예선 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UEFA 유로 2016 예선에 참가한 팀들의 시드는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과 본선 경기 결과의 20%, UEFA 유로 2012 예선 과 본선 경기 결과의 40%, 201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경기 결과의 40%를 반영한 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시드 배정은 2014년 1월 24일에 발표되었다.[ 1] [ 2]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2개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동률 팀 간의 승점
동률 팀 간의 골득실
동률 팀 간의 다득점
동률 팀 간의 원정 다득점
동률 팀 간의 승점, 골득실, 다득점, 원정 다득점이 같은 경우에는 1)에서 4)의 순서를 반복한다. 이후에도 순위가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 대하여:
골득실
다득점
원정 다득점
페어 플레이 점수
UEFA 계수
범례
본선에 직행한 조 1 ~ 2위 팀 및 승점이 가장 높은 조 3위 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예선에서 탈락한 조 4 ~ 5위 팀 (전적 반영)
예선에서 탈락한 조 6위 팀 (전적 미반영)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체코
10
7
1
2
19
14
+5
22
아이슬란드
10
6
2
2
17
6
+11
20
튀르키예
10
5
3
2
14
9
+5
18
네덜란드
10
4
1
5
17
14
+3
13
카자흐스탄
10
1
2
7
7
18
-11
5
라트비아
10
0
5
5
6
19
-13
5
체코
–
2-1
0-2
2-1
2-1
1-1
아이슬란드
2-1
–
3-0
2-0
0-0
2-2
튀르키예
1-2
1-0
–
3-0
3-1
1-1
네덜란드
2-3
0-1
1-1
–
3-1
6-0
카자흐스탄
2-4
0-3
0-1
1-2
–
0-0
라트비아
1-2
0-3
1-1
0-2
0-1
–
카자흐스탄과 라트비아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 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상대 전적 1승 1무, 합계 1-0으로 앞선 카자흐스탄이 5위, 라트비아가 6위를 기록하였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벨기에
10
7
2
1
24
5
+19
23
웨일스
10
6
3
1
11
4
+7
2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
5
2
3
17
12
+5
17
이스라엘
10
4
1
5
16
12
+4
13
키프로스
10
4
0
6
16
17
-1
12
안도라
10
0
0
10
4
36
-32
0
벨기에
–
0-0
3-1
3-1
5-0
6-0
웨일스
1-0
–
0-0
0-0
2-1
2-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1
2-0
–
3-1
1-2
3-0
이스라엘
0-1
0-3
3-0
–
1-2
4-0
키프로스
0-1
0-1
2-3
1-2
–
5-0
안도라
1-4
1-2
0-3
1-4
1-3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스페인
10
9
0
1
23
3
+20
27
슬로바키아
10
7
1
2
17
8
+9
22
우크라이나
10
6
1
3
14
4
+10
19
벨라루스
10
3
2
5
8
14
-6
11
룩셈부르크
10
1
1
8
6
27
-21
4
마케도니아 공화국
10
1
1
8
6
18
-12
4
스페인
–
2-0
1-0
3-0
4-0
5-1
슬로바키아
2-1
–
0-0
0-1
3-0
2-1
우크라이나
0-1
0-1
–
3-1
3-0
1-0
벨라루스
0-1
1-3
0-2
–
2-0
0-0
룩셈부르크
0-4
2-4
0-3
1-1
–
1-0
마케도니아 공화국
0-1
0-2
0-2
1-2
3-2
–
룩셈부르크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승점, 상대 전적(1승 1패, 합계 3-3)이 같아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룩셈부르크(마케도니아 공화국 원정 2골)가 5위, 마케도니아 공화국(룩셈부르크 원정 0골)이 6위가 되었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독일
10
7
1
2
24
9
+15
22
폴란드
10
6
3
1
33
10
+23
21
아일랜드
10
5
3
2
19
7
+12
18
스코틀랜드
10
4
3
3
22
12
+10
15
조지아
10
3
0
7
10
16
-6
9
지브롤터
10
0
0
10
2
56
-54
0
독일
–
3-1
1-1
2-1
2-1
4-0
폴란드
2-0
–
2-1
2-2
4-0
8-1
아일랜드
1-0
1-1
–
1-1
1-0
7-0
스코틀랜드
2-3
2-2
1-0
–
1-0
6-1
조지아
0-2
0-4
1-2
1-0
–
4-0
지브롤터
0-7
0-7
0-4
0-6
0-3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잉글랜드
10
10
0
0
31
3
+28
30
스위스
10
7
0
3
24
8
+16
21
슬로베니아
10
5
1
4
18
11
+7
16
에스토니아
10
3
1
6
4
9
-5
10
리투아니아
10
3
1
6
7
18
-11
10
산마리노
10
0
1
9
1
36
-35
1
잉글랜드
–
2-0
3-1
2-0
4-0
5-0
스위스
0-2
–
3-2
3-0
4-0
7-0
슬로베니아
2-3
1-0
–
1-0
1-1
6-0
에스토니아
0-1
0-1
1-0
–
1-0
2-0
리투아니아
0-3
1-2
0-2
1-0
–
2-1
산마리노
0-6
0-4
0-2
0-0
0-2
–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는 승점, 상대 전적(1승 1패, 합계 1-1)에서 동률을 이루고, 원정 다득점 원칙에서도 순위를 가릴 수 없어서 골득실차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에스토니아가 4위, 리투아니아가 5위가 되었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북아일랜드
10
6
3
1
16
8
+8
21
루마니아
10
5
5
0
11
2
+9
20
헝가리
10
4
4
2
11
9
+2
16
핀란드
10
3
3
4
9
10
-1
12
페로 제도
10
2
0
8
6
17
-11
6
그리스
10
1
3
6
7
14
-7
6
북아일랜드
–
0-0
1-1
2-1
2-0
3-1
루마니아
2-0
–
1-1
1-1
1-0
0-0
헝가리
1-2
0-0
–
1-0
2-1
0-0
핀란드
1-1
0-2
0-1
–
1-0
1-1
페로 제도
1-3
0-3
0-1
1-3
–
2-1
그리스
0-2
0-1
4-3
0-1
0-1
–
페로 제도와 그리스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 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상대 전적 2승, 합계 3-1로 앞선 페로 제도가 5위, 그리스가 6위를 기록하였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오스트리아
10
9
1
0
22
5
+17
28
러시아
10
6
2
2
21
5
+16
20
스웨덴
10
5
3
2
15
9
+6
18
몬테네그로
10
3
2
5
10
13
-3
11
리히텐슈타인
10
1
2
7
2
26
-24
5
몰도바
10
0
2
8
4
16
-12
2
오스트리아
–
1-0
1-1
1-0
3-0
1-0
러시아
0-1
–
1-0
2-0
4-0
1-1
스웨덴
1-4
1-1
–
3-1
2-0
2-0
몬테네그로
2-3
0-3*
1-1
–
2-0
2-0
리히텐슈타인
0-5
0-7
0-2
0-0
–
1-1
몰도바
1-2
1-2
0-2
0-2
0-1
–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이탈리아
10
7
3
0
16
7
+9
24
크로아티아
10
6
3
1
20
5
+15
20*
노르웨이
10
6
1
3
13
10
+3
19
불가리아
10
3
2
5
9
12
-3
11
아제르바이잔
10
1
3
6
7
18
-11
6
몰타
10
0
2
8
3
16
-13
2
이탈리아
–
1-1
2-1
1-0
2-1
1-0
크로아티아
1-1
–
5-1
3-0
6-0
2-0
노르웨이
0-2
2-0
–
2-1
0-0
2-0
불가리아
2-2
0-1
0-1
–
2-0
1-1
아제르바이잔
1-3
0-0
0-1
1-2
–
2-0
몰타
0-1
0-1
0-3
0-1
2-2
–
크로아티아는 UEFA로부터 승점 1점을 감점하는 조치를 받았다. 이는 크로아티아가 스플리트 에 위치한 스타디온 폴류드 에서 열린 이탈리아와의 홈 경기에서 인종 차별적인 행동을 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UEFA는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에 100,000 유로의 벌금을 부과했으며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홈 경기로 열리는 UEFA 주관 대회 2경기를 관중 없이 치르도록 명령했다. 또한 UEFA는 크로아티아가 스플리트에 위치한 스타디온 폴류드에서 UEFA 유로 2016 예선 홈 경기를 치르는 것조차 금지시켰다.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포르투갈
8
7
0
1
11
5
+6
21
알바니아
8
4
2
2
10
5
+5
14
덴마크
8
3
3
2
8
5
+3
12
세르비아
8
2
1
5
8
13
-5
4*
아르메니아
8
0
2
6
5
14
-9
2
포르투갈
–
0-1
1-0
2-1
1-0
알바니아
0-1
–
1-1
0-2
2-1
덴마크
0-1
0-0
–
2-0
2-1
세르비아
1-2
0-3*
1-3
–
2-0
아르메니아
2-3
0-3
0-0
1-1
–
휴식팀은 개최국인 프랑스 와 친선 경기를 치른다.
세르비아는 UEFA로부터 승점 3점을 감점하는 조치를 받았다. 이는 세르비아가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홈 경기에서 일어난 난투극을 막지 못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공정성을 위해 I조를 제외한 나머지 A~H조의 3위 팀들은 각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결과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6위 팀
A
튀르키예
8
5
1
2
12
7
+5
16
본선 진출
라트비아
F
헝가리
8
4
3
1
8
5
+3
15
플레이오프
그리스
C
우크라이나
8
4
1
3
11
4
+7
13
플레이오프
마케도니아 공화국
H
노르웨이
8
4
1
3
8
10
-2
13
플레이오프
몰타
I
덴마크
8
3
3
2
8
5
+3
12
플레이오프
없음
G
스웨덴
8
3
3
2
11
9
+2
12
플레이오프
몰도바
D
아일랜드
8
3
3
2
8
7
+1
12
플레이오프
지브롤터
B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
3
2
3
11
12
-1
11
플레이오프
안도라
E
슬로베니아
8
3
1
4
10
11
-1
10
플레이오프
산마리노
각 조 3위 팀간의 순위를 매기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승점
골 득실차
총 득점
원정 경기 득점
경고와 퇴장 (단, 이는 감점 요소이기 때문에 적은 쪽이 우위를 차지한다.)
추첨
그 결과 가장 높은 승점을 얻은 튀르키예가 자동으로 진출했다. 나머지 8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각 조에서 3위를 한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아서 자동으로 진출한 1팀을 제외한 나머지 8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쳐서 본선에 진출한다.
본선에 진출한 팀은 다음과 같다.
폴란드 국가대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는 유로 2016 지역예선에서 13골로 최다득점자이다.
13 골 9 골 8 골 7 골
6 골
5 골
4 골
3 골
2 골
1 골
1 자책골
2 자책골
33골
31골
24골
23골
22골
21골
20골
19골
18골
17골
16골
14골
11골
10골
9골
8골
7골
6골
5골
4골
3골
2골
1골
56실점
36실점
27실점
26실점
19실점
18실점
17실점
16실점
15실점
14실점
13실점
12실점
10실점
9실점
8실점
7실점
6실점
5실점
4실점
3실점
2실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