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보이기
해 1897년 1898년 1899년 - 1900년 - 1901년 1902년 1903년 |
연대 1880년대 1890년대 - 1900년대 - 1910년대 1920년대 |
세기 17세기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21세기 |
매월 요즘 화제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19세기의 마지막 해이다. 또한 이 해는 그레고리력의 윤년 규정에 따라 100으로 나뉘지만 400으로 나뉘지 않으므로 윤년이 아니다.
연호
[편집]기년
[편집]사건
[편집]- 1월 1일 - 나이지리아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 1월 2일 - 존 헤이 미국 국무장관이 청나라에 대한 문호 개방 정책을 발표했다.
- 1월 2일 - 첫 번째 전기 버스가 뉴욕에서 운행되었다.
- 1월 5일 - 아일랜드의 지도자 존 에드워드 레드먼드가 영국 통치에 저항하는 봉기를 촉구했다.
- 1월 6일 - 보어인들이 레이디스미스를 기습하여 천 명 이상을 학살했다.
- 1월 8일 - 미국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가 알래스카주에 군정을 실시했다.
- 6월 10일
- 6월 21일 - 청나라 서태후, 의화단 운동에 고무되어 열강에 선전포고했다.
- 7월 29일 - 이탈리아 왕국의 왕세자(사보이아 공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국왕으로 즉위했다.
- 8월 4일 - 의화단 운동을 진압할 목적으로 영국의 육군 장군 앨프레드 게이슬리가 지휘하는 8개국 연합군 약 2만여명이 베이징을 점령했다.
- 10월 9일 - 알래스카주에서 규모 8.2의 지진이 발생했다.
문화
[편집]- 1월 1일 - 대한제국이 만국 우편 연합에 가입했다.
- 1월 9일 - 이탈리아 축구 클럽 SS 라치오가 창단했다.
- 2월 27일 - 독일 축구 클럽 FC 바이에른 뮌헨 창단.
- 3월 18일 - 네덜란드 축구 클럽 AFC 아약스 창단.
- 4월 10일 - 한성전기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종로에 처음으로 민간인 사용 전등 3개를 설치. (최초의 민간 가로등)
- 5월 14일 - 2회 파리 올림픽이 개막하다. (~ 10월 28일)
- 6월 - 광성고등학교 설립자 윌리엄 제임스 홀의 아내 로제타 셔우드 홀이 대한민국 최초의 맹학교 에디스 마그리트 어린이병동을 개원하다.
- 7월 15일 - 서울과 인천간에 시외 전화 개통.
- 7월 20일 - 대한제국 고종이 원수부의 명령으로 진위대와 지방대를 통합하게 하였다.
- 10월 3일 - 관립 화동중학교(현 경기고등학교) 개교.
- 11월 1일 - 이탈리아 축구 클럽 US 팔레르모 창단.
탄생
[편집]1월
[편집]- 1월 1일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화가, 의원 서동진. (~1969년)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종교인 김진수. (~1950년)
- 1월 31일 - 미국의 미술가 베티 파슨스. (~1982년)
2월
[편집]- 2월 5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박시창. (~1986년)
- 2월 11일 - 일본의 종교학자 도다 조세이. (~1958년)
- 2월 12일 - 소련의 군인 바실리 추이코프. (~1982년)
- 2월 14일 - 일본의 철학가 나카이 마사카즈 (~1952년)
- 2월 21일 - 프랑스의 배우 마들레인 르노. (~1994년)
- 2월 22일 - 에스파냐의 영화감독 루이스 부뉴엘. (~1983년)
- 2월 29일 - 대한제국 고종의 황제 비공식 천출 서녀이자 덕혜옹주의 이복 언니 이문용 궁주.
3월
[편집]- 3월 2일 - 독일의 작곡가 커트 웨일. (~1950년)
- 3월 8일 - 미국의 컴퓨터 공학가 하워드 에이컨. (~1973년)
- 3월 13일 - 튀르키예의 시인 요르고스 세페리스. (~1971년)
- 3월 23일 - 독일의 철학자 에리히 프롬. (~1980년)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법학자 최태영. (~2005년)
4월
[편집]- 4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용환. (~1969년)
- 4월 25일 -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 (~1958년)
- 4월 26일 -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릭터. (~1985년)
5월
[편집]- 5월 5일 - 미국의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 찰스 주트로. (~1996년)
- 5월 7일 - 영국의 배우 랄프 투르먼. (~1977년)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유석현. (~1987년)
- 5월 28일 - 일제강점기의 공산주의자, 독립운동가 박헌영. (~1955년)
6월
[편집]- 6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동명. (~1968년)
- 6월 5일 - 헝가리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 (~1949년)
- 6월 7일 - 미국의 교육인 프레더릭 터먼. (~1982년)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1992년)
- 6월 17일 - 나치 독일의 정치가 마르틴 보어만. (~1945년)
- 6월 2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 최용건. (~1976년)
- 6월 29일 - 프랑스의 소설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1944년)
7월
[편집]8월
[편집]- 8월 3일
- 8월 4일
- 영국의 왕족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2002년)
- 일본의 최장수인, 슈퍼센티네리언 다지마 나비. (~2018년)
- 8월 8일 - 미국의 작곡가 아론 코플랜드. (~1990년)
- 8월 9일 - 영국의 왕족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2002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봉창. (~1932년)
- 8월 25일 - 독일의 대학교수 한스 크렙스. (~1981년)
9월
[편집]- 9월 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현진건. (~1943년)
- 9월 9일 - 영국의 소설가 제임스 힐튼. (~1954년)
- 9월 14일 - 소련의 군인 안드레이 블라소프. (~1946년)
- 9월 21일 - 미국의 배우 로저 무어. (~1999년)
- 9월 29일 - 멕시코의 대통령 미겔 알레만 발데스. (~1983년)
10월
[편집]- 10월 1일 - 대한민국의 향일운동가, 정치인 육홍균. (~1983년)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동인. (~1951년)
- 10월 3일 - 미국의 소설가 토머스 울프. (~1938년)
- 10월 7일 - 나치 독일의 정치인 하인리히 힘러. (~1945년)
- 10월 9일
- 10월 10일 - 미국의 배우 헬렌 헤이스. (~1993년)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시인 주요한. (~1979년)
- 10월 15일 - 미국의 영화감독 머빈 르로이. (~1987년)
- 10월 17일 - 미국의 배우 진 아서. (~1991년)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가 이범석. (~1972년)
- 10월 28일 - 러시아의 시인 알리 쇼겐추코프. (~1941년)
11월
[편집]- 11월 8일 - 미국의 작가 마거릿 미첼. (~1949년)
- 11월 19일 - 러시아의 과학자 미하일 라프렌티예프. (~1980년)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학규. (~1967년)
12월
[편집]미상
[편집]사망
[편집]


- 8월 25일 -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1844년~)
- 10월 28일 - 독일의 철학자 막스 뮐러. (1823년~)
- 10월 30일 - 아일랜드의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 (1854년~)
- 11월 12일 - 조선의 한의학자 이제마. (1837년~)
달력
[편집]음양력 대조 일람
[편집]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무인 | 소 | 1월 31일 | 갑진 |
2월 | 기묘 | 대 | 3월 1일 | 계유 |
3월 | 경진 | 소 | 3월 31일 | 계묘 |
4월 | 신사 | 소 | 4월 29일 | 임신 |
5월 | 임오 | 대 | 5월 28일 | 신축 |
6월 | 계미 | 소 | 6월 27일 | 신미 |
7월 | 갑신 | 대 | 7월 26일 | 경자 |
8월 | 을유 | 대 | 8월 25일 | 경오 |
윤8월 | 소 | 9월 24일 | 경자 | |
9월 | 병술 | 대 | 10월 23일 | 기사 |
10월 | 정해 | 대 | 11월 22일 | 기해 |
11월 | 무자 | 소 | 12월 22일 | 기사 |
12월 | 기축 | 대 | 1901년 1월 20일 | 무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