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 윌버 서덜랜드
- العربية
- مصرى
- تۆرکجه
- Беларуская
- বাংলা
- Català
- کوردی
- Čeština
- Deutsch
- English
- Español
- Eesti
- Euskara
- فارسی
- Suomi
- Français
- עברית
- Hrvatski
- Magyar
- Bahasa Indonesia
- Ido
- Italiano
- 日本語
- Қазақша
- Latina
- Lietuvių
- Bahasa Melayu
- مازِرونی
- Nederlands
- Norsk bokmål
- Occitan
- Polski
- پنجابی
- Português
- Русский
- Simple English
- Slovenščina
- Svenska
- Kiswahili
- Türkçe
- Татарча / tatarça
- Українська
- Oʻzbekcha / ўзбекча
- Tiếng Việt
- მარგალური
- Yorùbá
- 中文
보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출생 | 1915년 11월 19일 캘리포니아주 벌린게임 |
---|---|
사망 | 1974년 3월 9일 |
국적 | 미국 |
출신 학교 | 위시번 대학 워싱턴 대학교 의학대학원 (박사)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1971년) 미국 국가 과학상(1973년) |
분야 | 약학·생리학 |
경력 | 케이스 웨스턴 리서브 대학교 교수 밴더빌트 대학교 교수 마이애미 의과대학 교수 |
얼 윌버 서덜랜드 2세(Earl Wilbur Sutherland Jr., 1915년 11월 19일 ~ 1974년 3월 9일)는 미국의 약학자·생리학자이다.
캘리포니아주 벌린게임 출생. 1937년에 위시번 대학을 졸업하고 1942년에 세인트루이스의 워싱턴 대학 의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63년 케이스 웨스턴 리서브 대학 교수, 1963-73년 밴더빌트 대학 교수, 1973년 이후부터 마이애미 의과 대학 교수 등을 역임했다.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을 발견하고, 그것이 호르몬 작용을 매개하여 세포 안에 효소를 활성화하고, 세포의 분화에도 관여함을 발견했다. 1971년 호르몬 작용의 기구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외부 링크
[편집]- 얼 윌버 서덜랜드 - Nobelprize.org
- Lasker link
- NAS link
- Case-Western link
1901-1925 | |
---|---|
1926-1950 |
|
1951-1975 |
|
1976-2000 |
|
2001-현재 |
|
분류:
숨은 분류:
- 해결되지 않은 속성이 있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024를 사용하는 노벨상 링크 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 FAST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WorldCat Entitie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K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NAC-I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UDO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2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9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0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6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3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85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832를 사용하는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