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정문 및 행각
보이기
![]() | |
![]() | |
지정번호 | 보물 제385호 (1985년 1월 8일 지정)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 |
제작시기 | 조선 성종 15년(1484년) 창건 |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昌慶宮 明政門 및 行閣)은 창경궁 외전 일곽을 형성하는 회랑과 정전인 명정전으로 출입하는 정문이다. 명정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 단층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다포계 공포를 갖추었다. 이 문은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에서 옥천교를 지나 명정전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좌우에 행각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행각은 장대석 기단 위에 조성되었으며, 행각의 기단은 명정문 기단보다 낮다.
역사
[편집]명정문은 수강궁을 확장하여 창경궁을 지은 1483년(성종 14년)~1484년(성종 15년)에 함께 완공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 다른 창경궁의 건물들과 함께 소실된다. 이후 1616년(광해군 8년)에 중건되었다.[1]
구조
[편집]명정문은 홍화문과 같이 동향을 하였는데, 명정전으로 이어지는 동서 중심축 선상에 정확하게 놓이지 않고,[2] 남쪽으로 약 1.2m 벗어나 있다.[3] 문의 좌우에 연결된 동행각을 명정문에 맞추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행각으로 둘러싸인 명정전 앞뜰은 반듯한 사각형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3] 행각은 2칸 폭의 복랑이며, 경복궁의 행랑에 비해 높이가 낮다.[3]
각주
[편집]참고자료
[편집]- 명정문 및 행각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