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슬기
보이기
![]() | |
---|---|
![]() 다슬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강 |
(미분류): | 신생복족류 |
(미분류): | 흡강류 |
과: | 다슬기과 |
속: | 다슬기속 |
종: | 다슬기 |
학명 | |
Semisulcospira libertina | |
[출처 필요] |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중세 한국어: 배틀죠개, 문화어: 토질골뱅이)는 다슬기과의 연체동물로 물이 깊고 물살이 센 강의 바위 틈에 무리지어 서식한다. 소래고둥·민물고둥·고딩이·골뱅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껍데기는 높이 약 30mm, 지름 약 12mm가 보통이며, 큰 것은 높이가 60m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나선형의 꼭대기 부분이 변형되어 최후의 3층 정도로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이름
[편집]다슬기의 옛말은 '배틀조개'로, 경남에서는 민물고동, 경북에서는 고디, 전라도에서는 대사리, 강원도에서는 꼴팽이, 충청도에서는 올갱이,도슬비 등등으로 불린다.[1] 충청지역에서는 다슬기를 이용한 올갱이국이 유명하며, 괴산 지역에서는 관련 축제가 열린다.[2]
흔히 우렁이와 착각하여, 동의보감의 "전라"(田螺)를 다슬기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라는 우렁이를 의미하며, 동의보감에는 다슬기가 존재하지 않는다.[3]
효능
[편집]![]() Pre-packaged Semisulcospira libertina snails sold in Korea |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포화지방 | 28.7% of fat |
단일불포화지방 | 35.5% of fat |
다불포화지방 | 35.8% of fat |
% of amino acids / % of free amino acids | |
트립토판 | / 0.22% |
트레오닌 | 5.4% / 1.87% |
아이소류신 | 4.6% / 0.06% |
류신 | 8.6% / 6.96% |
라이신 | 6.9% / 2.87% |
메티오닌 | 2.1% / 0.25% |
시스틴 | 1.2% / 1.92% |
페닐알라닌 | 4.4% / 0.0% |
티로신 | 3.0% / 0.96% |
발린 | 5.4% / 0.68 % |
아르기닌 | 7.0% / 0.82% |
히스티딘 | 2.4% / 0.35% |
알라닌 | 6.9% / 9.39% |
아스파르트산 | 11.1% / 0.0% |
글루탐산 | 14.9% / 0.06% |
글라이신 | 6.6% / 2.77% |
프롤린 | 5.1% / 0.52% |
세린 | 4.4% / 0.09%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280% 2240 μg13% 1440 μg800[4]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9% 194.5 mg |
철분 | 8% 1.1 mg |
인 | 2% 16.4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81.0 g |
Crude fat | 1.2 g |
Crude protein | 11.9 g |
Crude ash | 1.9 g |
Chlorophyll | 170 mg[5] |
For 100 g of meat there would be need ~250–1000 snails. |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6]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7] |
아미노산이 풍부해 간 기능 회복 및 숙취 해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고, 눈의 충혈과 통증을 다스려 시력을 보호해준다.
각주
[편집]- ↑ 네이버캐스트 :: 아름다운 한국
- ↑ http://seven.invil.org/tour/festival/dfestival/contents.jsp 보관됨 2014-03-02 - 웨이백 머신 둔율올갱이축제 소개
- ↑ 국역 동의보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aoka, T.; Ochi, J.; Mori, M.; Sakagami, Y. (2012). “Identification of carotenoids in the freshwater shellfish Unio douglasiae nipponensis, Anodonta lauta, Cipangopaludina chinensis laeta,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Journal of Oleo Science》 61 (2): 69–74. doi:10.5650/jos.61.69. PMID 22277890.
- ↑ Lim, C. W.; Kim, Y. K.; Kim, D. H.; Park, J. I.; Lee, M. H.; Park, H. Y.; Jang, M. S. (2009). “한국산 다슬기의 식품학적 성분 및 품질특성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lania snai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2 (6): 555–560. doi:10.5657/kfas.2009.42.6.555.
-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