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직과 제도 원불교의 조직은 1924년 불법연구회에서 구체화되었으며 종법사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교단의 모든 권력의 핵심은 6년 임기의 선출직인 종법사와 수위단회(36명)에 있다. |
|
교단의 중요사항은 대부분 수위단회에서 결정된다. 교단행정은 일반행정을 담당하는 교정원과 각 지역대표자로 구성된 입법기구인 중앙교의회 그리고 교단의 각종 규찰을 담당하는 감찰원으로 권한이 분산되어 있다. |
|
교정원 산하에 13개 교구가 있고 그 아래에 각 지역 교당이 소속되어 있으며 모든 인사권과 재정권은 교정원과 수위단회에 있고 교구의 주된 기능은 산하 기관과 교당의 관리에 있다. |
|
원불교는 창립초기의 저축조합 운동이나 간척사업에서 보여주듯이 영육쌍전의 생활종교를 지향하여 교단 내의 교육, 의료, 복지시설과 산업기관의 육성에 노력해왔다. 그러나 각 지역교당과 각 기관의 설립은 교단의 지원 없이 자립의 기반 위에서 설립되며 운영 또한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원불교의 의례는 불교적이라기보다는 유교적이며 형식보다는 사실과 내용을 중시하고 절차를 시대에 맞게 간소화하였다. |
|
![]() 이 후 매년 일주일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
|
교역자의 생활은 무보수이며 본인이 근무하는 교당이나 기관에서 일정한 용금(최소 생활비)만 지급된다. 2) 현황(2004년 11월 30일 현재) 교육기관 : 원광대학교 등 8개 법인 17개소 |
WON BUDDHISM
조직과 제도현황